반응형

스마트인재개발원 17

[머신러닝] 데이터 스케일링과 선형모델 [스마트인재개발원]

데이터 스케일링(Data Scaling) 특성(Feature)들의 범위(range)를 정규화 해주는 작업 특성마다 다른 범위를 가지는 경우 머신러닝 모델들이 제대로 학습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KNN, SVM, Meural network모델, Clustering 모델 등) 예를 들어 시력과 키를 함께 학습 시킬 경우 키의 범위가 크기때문에 거리값을 기반으로 학습할 때 영향을 많이 준다. - 데이터 스케일링 장점 특성들을 비교 분석하기 쉽게 만들어준다 Linear Model, Neural network Model등에서 학습의 안정성과 속도를 개선시킨다. 하지만 특성에 따라 원해 범위를 유지하는게 좋을 경우는 scaling을 하지 않아도 된다. - 데이터 스케일링 종류 StandardScaler 변수의 ..

[머신러닝]분류용 선형 모델(Linear Model - Classification) [스마트인재개발원]

분류용 선형 모델 공식 분류용 선형 모델 특징 특성들의 가중치 합이 0보다 크면 class를 +1(양성클래스) 0보다 작으면 클래스를 -1(음성클래스)로 분류한다 분류용 성형모델은 결정 경계가 입력의 선형함수 일대다 방법을 통해 다중 클래스 분류 다중 클래스를 분류하려면 선을 많이 그려야 한다. Logistic Regression 회귀공식을 사용해서 Regression이라는 이름이 붙음 결정경계가 선형이기 때문에 선형 모델 시그모이드 함수의 최적선을 찾고 반환값을 확률로 간주 선형함수의 결과값을 시그모이드 함수(Logistic Function)을 이용해 0과 1로 변환 - 시그모이드 함수 시그모이드 함수를 사용하면 직선을 곡선으로 바꿔준다. 값의 범위가 0~1 사이 - 주요 매개변수(하이퍼파라미터) 선형..

[JSP\Servlet] servlet 개념과 실습 1 [스마트인재개발원]

Servlet과 JSP의 개념 기능의 차이는 없고 역할의 차이만 있다. 하는 일은 동일하다. Servlet 개념 server상에서 작동하는 Java기반의 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기술 server + Applet의 합성어 Applet은 java 프로그램이 웹서버에서 자동으로 설치되어 동작하는 프로그램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동적으로 작동하고 응답은 HTML을 이용한다. servlet은 HttpServlet 클래스를 상속받는다. 웹 개발을 위해 만든 표준 .java 확장자를 가진다 java Muulti Thread(멀티 쓰레드)를 이용하여 동작함으로 속도와 메모리 면의 효율성이 좋다 객체지향적 대규모 Web Application 개발에 적합하다 JSP 개념 Java 언어를 기반으로 하는 Server Side..

JSP\Servlet 2021.06.17

[JS] 자바스크립트 변수선언과 연산자, 형변환, 조건문, 반복문[스마트인재개발원]

자바 스크립트에서는 일반적으로 변수를 var로 선언한다. 변수의 의미 사전적의미는 "변화를 줄수있는" 또는 "변할 수 있는 수" 프로그래밍에서의 의미는 데이터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이다. 자바에서 변수는 var, let으로 선언하고 상수는 const로 선언한다. 변수 재선언 재할당 var 가능 가능 let 불가능 가능 const 불가능 불가능 변수의 재선언이란 var name = 10; 이렇게 선언하고 또다시 var name = 5; 로 선언하면 재선언이고 변수의 재할당이란 var name = 10; name = 5; 로 쓰면 재할당이다. 자료형 설명 number 정수,실수등 산술연산이 가능한 자료형 string 문자열로 이루어진 자료형 boolean 참/거짓으로 표현되는 논리 형태의 자료형 undefin..

HTML\CSS\JS 2021.06.08

[JS] JavaScript 기본개념 과 웹페이지에 입력문과 출력문 띄우기 [스마트인재개발원]

JavaScript 웹 페이지를 동적으로, 프로그래밍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 고안된 언어다. 모든 웹 브라우저에서 동작한다.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 결과를 즉시 확인한다. 다양한 용도의 프로그램 개발 다양한 자바스크립트 공개 API 다양한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 웹페이지를 만들때 JavaScript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 그리고 최근에 JavaScript 기반인 TypeScript도 크게 증가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JavaScript를 배워두면 웹페이지를 개발할때 많이 도움이 될거다. HTML내에서 자바스크립트를 쓰려면 을 쓴후 그안에 코드를 작성해야한다. 내부방식은 검사에서 다보이기 때문에 다른사람들이 접근하기 쉬워서 회사 내에서나 쓰지 그밖에는 외부 방식을 사용한다. 인라인 방식은 접근은 간단하지만 코드..

HTML\CSS\JS 2021.06.08

[Data Science] numpy라이브러리 사용하기 [스마트인재개발원]

numpy 라이브러리 고성능 과학계산을 위한 데이터분석 라이브러리 (연산속도가 빠름) import numpy as np 임폴트할때 일반적으로 np로 줄여쓴다. numpy.ndarray 클래스 동일한 자료형을 가지는 값들이 배열 형태로 존재 N차원 형태로 구성이 가능 각 값들은 양의 정수로 색인(index)이 부여되어 있다. numpy에서 차원을 rank, axis라고 부르기도 한다 ndarray를 줄려서 array로 표현한다. numpy.ndarray 클래스로 배열 생성하는 방법 # np.array로 1차원 배열생성 list1 = [1, 2, 3, 4, 5] arr = np.array(list1) print(arr) # np.array로 2차원 배열생성 arr2 = [[1,2,3], [4, 5, 6]] ..

[웹 크롤링]Requests 와 BeautifulSoup 라이브러리로 페이지 정보 가져오기 [스마트인재개발원]

Requests 라이브러리 Requests 라이브러리는 페이지에 정보를 요청할 때 사용한다. import requests as rep 로 임 폴트 하고 앞으로 rep로 줄여서 사용할 거다. req.get('주소') : 를 사용해서 페이지를 받아온다. res = req.get('주소')로 받아온 페이지를 변수에 담아주고 res.text를 하면 요청한 페이지의 정보를 볼 수 있다. import requests as req # 네이버 페이지를 요청 res = req.get("https://www.naver.com/") # req.get("https://www.naver.com/")의 결과 창이 # ,로 뜨는데 아래와 같은 뜻이다. # : 페이지를 잘 받아왔다는 사인 # : 응답을 할 수 없습니다. # 요청한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