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메모리
컴퓨터에는 스토리지와 메모리라는 2가지 데이터 저장 방식이 있다
스토리지 :
-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공간
-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오래 걸린다
- 데이터를 받아오는데 오래 걸린다
메모리 :
-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공간이다
-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빠르다
- 데이터를 받아오는데 빠르다
보통 컴퓨터에서 동영상 같은거를 볼때 스토리지에서 메모리로 영상을 복사해서
메모리에서 영상을 재생하고 영상재생이 끝나면 메모리의 데이터가 사라진다.
메모리는
- 일정한 칸이 나눠져있고
- 각 칸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 각 칸은 자신만의 주소가 있다.
- 메모리 한칸의 기본적인 용량 = 1byte
RAM : 임의 접근 메모리
임의 접근 : 저장 위치를 알면 접근할때 항상 일정한 시간이 걸림
메모리에 저장한 데이터 접근 시간 복잡도 : O(1)
레퍼런스(reference)
레퍼런스란
- 데이터를 접근할수있게 해주는 값
- "주소"보다 조금 더 포괄적
- 자료 구조 내에서는 주소==레퍼런스 라고 생각해도 문제 없다
파이썬 id 함수
파이썬에서 id함수를 쓰면 저장한 데이터의 메모리 주소를 정수로 표현한 값을 알아낼 수 있다.
728x90
'자료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료구조]이중연결 리스트 (더블 링크드 리스트) (0) | 2021.05.28 |
---|---|
[자료구조]싱글 링크드 리스트(단순 연결 리스트)의 시간 복잡도 (0) | 2021.05.28 |
[자료구조]싱글 링크드 리스트(단순 연결 리스트) - 개념 및 생성 & 추가연산 (0) | 2021.05.27 |
[자료구조] 동적, 정적 배열과 시간 복잡도 & 분할 상환 분석 (0) | 2021.05.26 |